![]() |
▲ 수생식물 '낙지다리' |
양측은 2015년 12월 담수 생물자원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기능성 화장품 원천 소재 개발을 추진하기로 손을 잡았다.
이후 '낙지다리' 추출물이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을 확인해 올해 5월 특허를 등록했고, 6월에는 미국화장품협회(PCPC)에 화장품 원료로 등록했다.
양측은 앞서 20일 '낙지다리' 추출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특허기술 사용에 대한 로열티(사용료)를 받는다.
애경산업은 화장품을 개발해 2020년 안에 출시할 계획이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낙지다리'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한편 수생식물 '낙지다리'는 주로 '수택란'이라 불리며 부종, 대하증, 타박상 등 치료제로 쓰인다. 열매가 붙은 모양이 낙지의 다리를 닮아 '낙지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환경미디어= 김명화 기자]
[저작권자ⓒ 환경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