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립공원공단은 계곡 정상부에 설치된 자동우량경보시설을 통해 돌발홍수를 예측해 탐방객 사전대피와 통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험정보의 신속한 예측 및 대피에 필요한 최소시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국립공원공단에서는 공간분포 강수량 관측이 가능한 강우레이더를 활용한 ‘국립공원 돌발홍수 예측시스템’ 개발을 연구 중이다.
![]() |
▲ 전국 강우레이더 운영 현황 <제공=환경부> |
환경부 소속 및 산하기관인 한강홍수통제소와 국립공원공단은 5월 26일 오후 한강홍수통제소(서울시 서초구 소재)에서 국립공원의 자연재해 대응 강화를 위해 강우레이더를 포함한 수문자료 공동 활용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국립공원 산간계곡의 돌발홍수 관측 및 사전 예측에 필요한 고해상도 강우레이더 영상자료 공유 △강우레이더 기반 초단기 강우예측자료 제공 △강우레이더 공동 활용 및 기술협력 강화 등이다.
손옥주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이번 협약으로 국립공원 탐방객의 안전확보와 재난대응에 강우레이더 자료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자연재해 대응 강화를 위해 환경부 소속 및 산하기관 간의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이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